미세플라스틱 오염 토양, 생명체 면역력 저하시켜…지렁이 식균작용 감소

0
미세플라스틱 토양오염, 지렁이 면역력, 식균작용 감소, 한국연구재단, 환경독성 연구, 미세플라스틱 영향, 토양 생태계, 건국대 연세대 공동연구,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즈, 지렁이 면역세포
(사진 출처-한국연구재단 제공)
미세플라스틱 토양오염, 지렁이 면역력, 식균작용 감소, 한국연구재단, 환경독성 연구, 미세플라스틱 영향, 토양 생태계, 건국대 연세대 공동연구,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즈, 지렁이 면역세포
(사진 출처-한국연구재단 제공)

미세플라스틱 으로 오염된 토양이 토양 생물체의 면역 기능을 저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한국연구재단은 22일 건국대 안윤주 교수와 연세대 현영민 교수 공동연구팀이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지렁이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는 국내 서식종인 붉은줄 지렁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1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폴리스티렌(polystyrene)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지렁이의 면역세포는 병원균에 대한 식균작용과 액체 물질을 섭취하는 음세포작용 능력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형광도립현미경을 활용해 지렁이 면역세포인 아메보사이트가 미세플라스틱을 30분 내로 세포 내에 흡수하는 과정을 확인했다.

이어 24시간 노출 실험 결과, 세포사멸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병원성 대장균에 대한 식균작용은 1mg/L 농도부터 현저히 감소했다.

토양 내 실험에서도 0.1% 농도의 미세플라스틱에 2주간 노출된 지렁이 면역세포는 식균작용이 대조군 대비 40%, 음세포작용은 29%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안윤주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이 생물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입증한 첫 연구”라며

추가로 “지렁이 면역세포가 병원균을 제거하는 능력이 저하되면 토양 생태계의 균형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국제환경학술지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즈(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