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집값, 재건축 기대감에 급등… 토허제 해제 가능성이 불씨 됐다

0
목동 집값
(사진 출처 - 서울시 제공)

목동 집값이 서울 부동산 시장의 침체 속에서도 강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재건축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목동 집값
(사진 출처 – 서울시 제공)

여기에 조합 설립 동의율 완화와 입체공원제도 도입 등 규제 완화 조치가 맞물리면서 목동 재건축 단지들의 사업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목동의 3.3㎡당 평균 거래금액은 올해 1월 6595만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6305만 원, 11월 6524만 원을 기록한 뒤 12월 6229만 원으로 다소 하락했지만, 1월 들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특히 신고가도 속출하고 있다.

목동 2단지 전용 152㎡는 지난달 31억 1500만 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는 직전 최고가 대비 6500만 원 상승한 금액이다.

목동 6단지 전용 48㎡도 지난달 15억 2500만 원에 거래되면서 최고가를 새롭게 썼다.

목동 집값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가능성이다. 목동은 2021년 압구정, 여의도, 성수와 함께 토허제 적용 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 부동산을 거래할 때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그러나 오는 4월이면 토허제 기한이 만료되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토허제 해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목동 인근 부동산 관계자는 “지난해 12월까지만 해도 재건축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지만, 1월부터 토허제 해제 기대감이 커지면서 호가가 오르고 매수 문의도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오는 4월부터 조합 설립 동의율이 75%에서 70%로 하향 조정되면서 목동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현재 목동 아파트지구 내 대부분의 단지가 재건축을 추진 중인데, 조합 설립 문턱이 낮아지면 사업 속도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입체공원제도 도입도 목동 재건축 사업성을 높이는 요소로 꼽힌다. 입체공원제도는 건물 옥상의 공원도 기부채납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목동처럼 기존 공원 면적이 충분한 지역도 입체공원제도가 적용될 수 있다”며 재건축 활성화 기대감을 키웠다.

목동 아파트는 과거부터 뛰어난 학군과 생활 인프라로 실수요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던 지역이다.

특히,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준공 40년을 앞두고 있어 재건축이 본격화될 경우 가격 상승 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목동 아파트 시장의 흐름을 분석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토허제 해제 가능성과 조합 설립 요건 완화가 맞물리면서 목동 집값이 강한 반등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 부동산 시장이 다소 침체된 가운데에서도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지역들은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지만, 재건축이 가능한 핵심 지역들은 매수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목동을 비롯한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의 가격 변동성이 한층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른기사보기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