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탐사시추 결과…경제성 부족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인 ‘대왕고래’ 에서 처음 진행된 탐사시추 결과,
일부 가스 징후가 확인됐으나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 개발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탐사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일부 확인됐지만 경제성을 확보할 만큼의 규모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시작된 첫 탐사시추는 이달 4일 완료됐으며, 시추 작업을 수행한 웨스트카펠라호는 전날 부산항을 떠났다.
탐사는 해수면 아래 3,000m 이상의 해저까지 진행됐으며,
시추 과정에서 채취한 진흙을 분석하는 ‘이수 검층’을 통해 목표 유망구조 ‘대왕고래’ 주변에서
미세한 가스가 검출됐다.
그러나 해당 수치는 경제성이 인정될 만큼 높은 수준은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최남호 차관은”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지만, 전반적으로 양호한 석유 시스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시추 중 획득한 시료 데이터는 나머지 6개 유망구조 후속 탐사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이번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추가 탐사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석유공사는 물리탐사 자료 분석을 통해 동해 7개 유망구조에서 최대 140억 배럴의 가스와 석유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탐사 사업을 추진해왔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20%의 성공 확률을 고려해 향후 최소 5차례의 탐사시추를 진행할 계획이다.
2차 시추부터는 해외 오일 메이저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석유공사와 합작 형태로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하며, 오는 3월부터 본격적인 투자유치 절차를 개시할 예정이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