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휴업제 10년…전통시장 소비엔 ‘무관’ 분석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시행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전통시장 소비를 유도하는 효과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오히려 온라인 쇼핑의 성장과 함께 오프라인 유통업 전반이 침체되고 있어, 현행 유통 규제의 실효성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5일 ‘대형마트 영업규제와 위기의 오프라인 유통업’ 보고서를 통해 연 130만 건의 소비자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대형마트가 의무적으로 휴업하는 일요일에도 전통시장에서의 소비 증가 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대형마트 휴업일인 일요일의 전통시장 식료품 평균 구매액은 610만 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 원)보다 오히려 적었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을 닫더라도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대신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며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2015년과 2022년의 구매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에 전통시장의 평균 구매액은 1370만 원에서 610만 원으로 55%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온라인몰의 구매액은 350만 원에서 8170만 원으로 20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마트 이용 고객 다수가 온라인몰로 이탈했음을 시사한다.
전체 오프라인 유통업계도 침체가 두드러졌다.
2011년 1분기 114.2였던 대형마트 판매지수는 2023년 4분기 92.0까지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인터넷 쇼핑 판매지수는 21.8에서 135.3으로 급상승했다.
판매액 역시 2020년을 기점으로 인터넷쇼핑이 대형마트를 추월했다.
이에 따라 최근 10년간 대형마트 52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202곳이 문을 닫았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해외 사례와도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독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등은 일요일 영업시간 제한은 있었지만 종교활동 보호 목적이었으며, 점포 규모에 따른 차별적 규제는 아니었다.
일본도 1973년 소형 소매상 보호를 위해 유사한 규제를 시행했으나, 소비자 불편과 유통업 침체로 2000년 이를 폐지했다.
유민희 연구위원은 “인터넷 쇼핑이 대형마트를 대체하면서 소비 중심이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는 오히려 온라인 소비를 촉진시켜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위축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경연은 유통규제를 통한 일방적 보호보다 전통시장의 실질적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디지털 기술 도입, 현대적 경영 방식 적용,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유통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 연구위원은 “의무휴업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균형 있는 유통 구조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