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폭등에 거래소 마비…금은방엔 판매자 ‘북적’

최근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국내 금 거래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온라인 거래소는 접속자가 몰려 마비되는가 하면, 오프라인 금은방에서는 골드바를 구입하려는 고객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반면,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금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은 11년째 금을 추가 매입하지 않아 금 보유량 순위에서 계속 밀려나고 있다.
6일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국제 금 가격은 온스당 2,906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값 상승에 따라 한국금거래소 홈페이지에는 이날 오후 1시 50분 기준 1만4천 명이 넘는 접속자가 몰려, 실제 거래까지 4시간 가까이 대기해야 했다.
금값이 급등하자 실물 금을 확보하려는 투자자들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오프라인 금 거래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경기일보 취재에 따르면 종로의 한 금은방에서는 “현재 물건이 전량 소진되었으며, 골드바 주문 제작에는 최소 1~3주가 소요된다”고 안내하고 있다.
또한, 수원의 한 금 매입 업체 관계자는 “설 명절 이후 금값이 계속 오르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고객이 금을 팔러 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판매 물량이 많아졌지만, 공장에서 순수 금으로 재가공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전했다.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금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지만, 한국은행은 2013년 이후 금을 추가 매입하지 않았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은 지난해 말 기준 104.4톤으로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38위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36위에서 두 계단 하락한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3위)과 유럽중앙은행(ECB·13위)을 포함하면 40위까지 밀려난다.
우리나라의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해, 상위 40위권 중앙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금 매입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4월, 한은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금 가격이 고평가되었다는 견해가 우세하며, 향후 투기적 금 선물 매입 포지션이 청산 될 경우 가격 하락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후 국제 금값은 꾸준히 상승하며 2013년 대비 두 배 이상 올랐다.
세계금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규모는 1,186톤으로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4분기에만 333톤이 매입됐다. 금 보유량 1위는 미국으로 8,133.5톤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독일(3,351.5톤), 이탈리아(2,451.8톤), 프랑스(2,347.0톤), 러시아(2,335.9톤) 등이 잇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에만 33.9톤을 추가로 매입해 러시아와의 격차를 좁혔으며, 폴란드(89.5톤), 튀르키예(74.8톤), 인도(72.6톤) 등 주요국들의 금 보유량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차지연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 증가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연결되어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금값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현재 금값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미 연준의 금리 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등이 꼽힌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국제 금값이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며,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금 매입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