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대원 폭행 급증…강원 소방본부 “엄중 대응”

0
119 구급대원 폭행, 구급대원 안전 문제, 응급구조 폭행 증가, 강원도 소방본부 대응
(사진 출처-홍천소방서 제공)

 

119구급대원 폭행, 구급대원 안전 문제, 응급구조 폭행 증가, 강원도 소방본부 대응
(사진 출처-홍천소방서 제공)

응급 구조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119구급대원들이 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4일 낮 12시 30분께 강원 홍천에서 30대 A씨가 병원 이송 중
구급대원 B(37)씨의 얼굴을 주먹으로 가격했다.

이로 인해 B씨는 코뼈가 골절되는 부상을 입고 치료 중이다.

홍천소방서는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을 투입해 1차 조사를 마쳤으며, 강원자치도소방본부 특사경에 추가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지난해 1월 3일에는 태백의 한 아파트에서 호흡곤란 환자를 이송하던 119구급대원 C씨가 환자의 지인 D씨에게 폭행당했다. 복부와 어깨를 가격당한 C씨는 전치 2주의 부상을 입었다.

강원특별자치도소방본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구급대원 폭행 사건은 총 31건이다. 2022년 9건에서 지난해 15건으로 급증했다.

전국적으로도 2021년부터 3년간 731건이 발생했으며,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165건이 보고되는 등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해자의 84%가 주취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도소방본부는 구급대원 폭행 사건에 대해 엄중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구급대원들이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신고 접수 단계에서 환자의 주취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이 예상될 경우 경찰과 공동 대응하는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보다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기충격기나 가스총과 같은 호신 장비 지급, 폭력적인 환자나 보호자에 대한 구급 이송 거부권 부여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도소방본부 관계자는  “구급대원 폭행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신고 접수 단계부터 환자의 주취상태 등을 확인하고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경찰에 공동 대응을 요청하고 있다”며
“구급대원을 폭행한 가해자는 소방서와 소방본부 특사경의 면밀한 조사를 통해 엄중 처벌할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