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서초 아파트 평당가 1억 육박…서울 부동산 시장 격차 확대

0
강남 서초 평당가 1억
(사진 출처 - 다방 제공)

강남·서초 지역의 아파트 평균 평당가 1억 원에 근접하며 서울 부동산 시장의 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강남 서초 평당가 1억
(사진 출처 – 다방 제공)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토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지난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10년 치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서울에서 평균 평당가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초구로 “9285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3003만원보다 209% 증가한 수치”다.

강남구 역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평균 평당가가 914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용산구 7477만원, 송파구 6762만원, 성동구 6083만원, 마포구 5635만원, 광진구 5160만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역은 모두 평균 평당가가 5000만원을 넘겼다.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강남·서초 외에도 다른 지역에서 상당한 상승폭이 관찰됐다. 특히 “성동구가 2037만 원에서 6083만 원으로 199% 증가”하며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용산구는 2601만 원에서 7477만 원으로 188% 상승”, “마포구는 2044만 원에서 5635만 원으로 176% 증가”, “강남구는 3402만 원에서 9145만 원으로 169% 상승”, “서대문구는 1591만 원에서 4260만 원으로 168% 증가”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평균 평당가는 2024년 기준 “825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강남 3구 외 지역의 평균 평당가인 4283만 원보다 1.9배 높은 수준”이다.

상승률 역시 강남 3구가 “10년 동안 170%” 증가한 반면, 그 외 지역은 “157%” 상승하는 데 그쳐 13%p 격차가 발생했다.

부동산 시장의 이러한 흐름에 대해 다방 관계자는 “비아파트 기피 기조가 장기화하며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어 지난 10년 동안의 서울 지역 아파트의 평당가를 살펴보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2~3년 사이 강남 3구 외 지역에서 잠시 주춤하는 모양새였지만, 전반적으로 지난 10년 간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전통 부촌인 서초, 강남 지역의 경우 지속적으로 평당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강남·서초 지역과 타 지역 간의 가격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가운데, 향후 서울의 부동산 가격 흐름이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